품앗이 칼럼

  • 이달 완두콩
  • 품앗이 칼럼
  • 지난 완두콩

품앗이 칼럼

> 시골매거진 > 품앗이 칼럼

[유송이의 술과 함께 열두 달 23] 백화주(百花酒) 사랑 고백2023-11-28

[유송이의 술과 함께 열두 달 23] 백화주(百花酒) 사랑 고백

[유송이의 술과 함께 열두 달 23] 백화주(百花酒) 사랑 고백

백화주(百花酒) 사랑 고백


봄부터 겨울까지 백 가지 꽃을 말려두었다가 백화주를 빚는 것은 아름다운 꽃이 준 백 번의 기쁨을 모아 술잔에 담아내는 사랑 고백의 절정이다. 어여쁜 꽃을 볼 때마다 느낀 기쁨을 술 속에 담아 당신과 함께 나누고 싶은 것이라고.


아내는 해마다 누에를 쳐 비단을 만들고 백 가지 꽃으로 술을 빚어 나에게 주었다.


이백 년을 거슬러 날아온 사랑 고백으로 나는 읽었다. 백 가지 꽃이 어우러진 향이 담긴 술잔을 아내로부터 받아든 남편의 다정한 눈빛이 이 한 줄에 묻어난다. 대를 이어 대제학과 영의정을 지냈고, 집안에 수천 권의 책을 보유한 명문 사대부가의 장남이었던 서유본(1762~1822)은 아내 빙허각 이씨(1759~1824)를 세상에 자랑하고픈 마음을 주체하지 못하고 이 기록을 남겼을 것이다. 아내 자랑이나 하는 팔불출이라 각오하고 말이다.

 

겨울에 매화, 동백으로부터 이듬해 가을 국화까지 꽃을 모으되 꽃술 없이 하지 말고 그늘에 말려 각각 봉지를 지었다가 중양(99) 때 국화가 흐드러지게 피면 술을 빚으라. 다른 꽃은 향기가 많다가도 마르면 향내가 가시나 국화는 마른 후 더욱 향기로워 주장을 삼고, 복사, 살구, 매화, 연꽃 등과 초화에는 구기, 냉이꽃 등 성미가 유익한 것은 돈수를 넉넉히 하고 다른 꽃은 각각 한 돈씩 하되, 왜철쭉, 옥잠화, 싸리꽃은 지독하니 넣지 말라.

 

빙허각 이씨가 철마다 피는 꽃을 다뤘던 방법이다. 꽃을 어떻게 말리고 보관하는지, 어떤 꽃을 쓰는지, 쓰면 안 되는지, 술의 맛과 향을 조화시키기 위해 어떤 비율로 꽃을 써야 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세세히도 적어 놓았다. 여성이란 현모양처의 미덕만 갖추면 되었던 시대에 빙허각은 옥사에 휘말려 단숨에 몰락한 가문의 생계를 직접 농사를 지어 떠맡으면서도 밥 짓고 반찬을 만드는 틈틈이 사랑방에 나가 옛글을 읽었고, 일상생활에 아주 요긴한 말을 가려 자신의 소견을 덧붙이고, 여러 책에서 뽑아 항목별로 나누어 기록했다. 남편 서유본은 술빚기, 장담그기, 옷 만들기, 염색, 길쌈, 누에치기, 농사와 가축 기르기 등 아내가 분류한 항목에 관련된 서책을 찾아다 주며 아내의 의견을 경청했다. 그리고 규방에서 알아 두어야 할 상식을 모았다 하여 아내의 책에 <규합총서(閨閤叢書), 1809>라 이름 지어주고 이렇게 서평을 남긴다.

 

나의 아내가 여러 책에서 뽑아 모아서 각각 항목별로 나누었다. 산에 사는 일용의 살림살이에 요긴하지 않은 것이 없고, 더욱이 풀, 나무, , 짐승의 성미에 대해서는 아주 상세하다.

 

중년에 들이닥친 집안의 풍파에도 굴하지 않고 삶을 이롭게 하고자 연구하고 기록했던 빙허각 이씨는 그녀의 나이 50세에 <규합총서>라는 찬란한 기록을 완성했다. 서유본의 서평은 아내의 열정과 노력에 대한 칭찬과 격려였다. 표지에 떨리는 붓끝으로 제목을 써놓고 두툼한 책 묶음을 바라보며 부부가 마주 앉아 백화주를 나누는 풍경을 상상해 본다. 술잔에 퍼지는 백 가지 꽃향기만으로도 고맙고, 사랑한다는 말이 되어주지 않았겠는가.


/유송이는 전통주를 빚고 즐기는 사람들을 찾아다니며 가양주 문화와 관련된 이야기를 수집하고 있다.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로 북마크 하기 게시글을 네이버로 북마크 하기
이전글
[농촌별곡] 햅쌀밥 잔치
다음글
[이근석의 완주곤동체이야기] 베짱이
코멘트 작성 ※ 최대 입력 글자 수 한글 120자 (255 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