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 이달 완두콩
  • 품앗이 칼럼
  • 지난 완두콩

기획특집

> 이달 완두콩 > 기획특집

[모악산 아래, 구이 상학마을] 정 많은 사람들이 늘 한솥밥을 먹네2023-05-16

[모악산 아래, 구이 상학마을] 정 많은 사람들이 늘 한솥밥을 먹네

팥칼국수도 시래기국도 같이 나누니 진수성찬


관광지로 유명한 이곳은 누군가에겐 한평생 보내왔을 고요한, 혹은 치열한 삶의 터전이기도 하다. 뒤로는 모악산을, 앞으로는 구이저수지와 경각산 자락이 펼쳐지는 상학마을에는 140세대, 230명의 주민이 모여 살고 있다.  


매일 함께 먹는 점심, 오늘은 칼국수 먹는 날

낮 열두시가 넘은 시각. 상학마을 내 식당가에 하나 둘 식사하러 온 사람들이 몰려온다. 같은 시각 마을회관에서도 주민들이 식사 준비에 한창이다. 마을에서 젊은 축에 속하는 송영자(70), 이행자(74) 씨가 주로 점심식사를 책임진다. 이날 시래기된장국에 도토리묵, 깻잎장아찌, 배추김치, 파김치, 총각김치가 밥상에 푸짐하게 올려졌다. 소박하지만 뱃속을 든든히 채워줄 반찬들이다.


행자 씨는 다른 부락은 순번이 있어서 돌아가면서 한다지만 우리는 몇 사람씩 그냥 되는 대로 하는 것이라며 힘들게 생각하지 않고 즐기며 하고 있다. 동네 어른들하고 이렇게 한 자리에서 먹어야 더 맛있고 맛있게 드셔주시면 뿌듯한 마음이다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 식사는 부녀회장 왕유화(66)씨의 반죽으로 만든 팥칼국수이다. 오후 5시가 넘어가자 모두들 반죽을 치대고 미느라 분주하다. 올해 아흔 한 살인 백공수 할머니도 쉬지 않고 반죽을 치댄다. ‘마을회관 지킴이처럼 항상 회관을 지키고 있는 백 할머니는 식사를 하기 전부터 먼저 회관에 나와 계신다.


나는 여기서 딸 넷에 아들 셋 칠남매 키우고 살았어. 농사지어서 중학교까지는 갈쳐놨어. 지금은 막둥이 아들만 나랑 같이 살고 나머지는 다 떨어져서 살아.”


부녀회장 유화씨는 이날을 위해 혼자 세 시간 동안 숙성시킨 25인분 반죽을 내왔다. 보기만 해도 꽤 많은 양이다. “혹시 몰라서 넉넉하게 해온 거예요. 안 질고 딱 좋네요. 제가 바쁠 땐 잘 못 챙기는데 오늘은 여유가 생겨서 이렇게 칼국수라도 먹으려고요. 이렇게 다 같이 먹어야 꿀맛이거든요(웃음).”



모악산 아래 자리한 삶의 터전

상학마을은 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계곡 양쪽에 자리해있다. 계곡을 기준으로 윗마을을 상학마을, 아랫마을을 하학마을이라고 부른다. 과거에는 웃 학내’, ‘아래 학내로 부르기도 했다. 영식(73) 어르신은 어른들 말씀으로는 예전에 이 터에 학이 많이 날아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학마을이라고 불렀다. 지금은 찾아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송 어르신은 16년간 이장을 맡고, 재작년부터는 노인회장을 맡고 있다. 오랫동안 마을의 변천사를 가장 가까이서 목격해온 산증인인 셈이다.


모악산 우회도로가 생기고 도립 미술관이 지어지면서부터 서서히 발달하기 시작했지. 아마 2000년이었을 거야. 이후로 등산객도 꾸준히 늘었고, 이사오는 사람들도 많이 생겼지. 지금 주민 중 절반은 귀촌 인구야.”

그 무렵 관광단지도 조성되며 마을 내 대부분 논과 밭이 사라졌다. 현재 마을은 농사 짓는 규모가 작고, 일부는 외지의 땅을 빌려 농사를 짓기도 한다.


마을에서 지금까지 20년간 이장 일을 맡아오고 있는 이용철(69) 이장도 마을에 대해서라면 모르는 것이 없다. “우리 마을은 모악산을 끼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 장사했던 분들이 많았죠. 제 위에 형님도 여기서 장사를 했었고 지금도 하고 계셔요. 모악산 우회도로랑 관광단지가 생기기 전에는 다 상학마을을 지나서 갔었는데 이제는 관광객 숫자가 많이 줄었죠. 본래는 모악산 가는 길은 동네 안으로 지나쳐야 했는데 20년 전쯤 해서 도로를 앞으로 내가지고 그게 영향을 끼쳤죠. 옛날엔 큰 목욕탕도 있었고 식당이며 펜션이며 더 많았어요.”



문 안잠가도 맘 편한 마음

저 멀리 빨간 사륜 전동차를 타고 최월임(83) 할머니가 지나가신다. 월임 할머니는 아들과 함께 농사를 지어 완주로컬푸드에 납품하며 바쁜 하루를 보내신다. 젊었을 땐 모악산에 올라가서 노점 장사를 하셨단다. 주말이면 모악산에 사람이 많아 10만원어치는 팔곤 했던 기억이 난다.


치커리, 상추, 호박잎, 호박 같은 거 팔았어. 깨끗하게 해가지고 모양도 예쁘고 많이씩 주니까 내가 1등으로 팔고 내려왔지(웃음). 전엔 우리 마을 쪽에 식당이 겁났어(많았어). 옛날엔 열세네 곳 정도는 됐는데 시방은 서너집 밖에 안 해. 지금은 버스 노선 따라서 저리 위로 올라가버렸으니까. 객지에서 놀러온 사람들도 다 거기에서 밥먹고 놀더라고.”


월임 할머니에게 마을에 대해 묻자 표정에서부터 애정이 넘친다. 그에게 있어 이 마을은 문 안 잠가놔도 훔쳐가는 것 하나 없는 마을이다.


상학(마을)은 인심 좋고 공기 맑고 좋지. 문 안 잠가놔도 훔쳐가는 것도 없어. 또 젊은 사람들이 노인들 맨날 밥 해주느라고 고생해. 완주군에서 쌀 20kg씩 한 달마다 꼬박꼬박 주는데 그걸로 같이 밥 먹는 거야. 전기요금이랑 다 지원해주니까 회관에 나와서 노는 거지.”


로컬푸드에 내놓을 쪽파가 마를까 허리 숙여 씻고 있는 박만의(86) 할머니도 옆에서 말을 보태신다.

옛날에 우리 젊어서는 삼베 짜고 길쌈매고 그랬어. 아직까지도 동네 양반들하고 잘 지내. 밥도 같이 먹고 사람들이 참 좋아. 이런 사람들이 없거든.”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로 북마크 하기 게시글을 네이버로 북마크 하기
이전글
[모악산 아래, 구이 상학마을] 20년차 마을 일꾼, 이용철 이장
다음글
[우리 동네 '빵빵'한 지도] 구이 베이콜로지빵학개론 모악점
코멘트 작성 ※ 최대 입력 글자 수 한글 120자 (255 byte)